[요즘 101] 제목만 보고 마음이 끌리는 책📚이 있습니다. 제목만 보고 마음이 끌리는 책이 있습니다.
⛪교회밖에 모르는 바보, 현철
왠지 제목만 보고도 마음이 끌리는 책이 있습니다. 이 책 <기독교교양>이 그랬습니다. '교양'이라는 단어 때문이었습니다.
.
사실 저에게는 기독교 신앙이 하나의 '교양'이어야 한다는 오래된 고민이 있습니다. '기독교 신앙에 있어서의 교양', '사회적 교양으로서의 신앙'은 청어람에서 활동하는 동안 저의 오랜 고민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어렴풋한 문제의식은 있었지만, 정확히 어떤 논의에 기대 어떤 말로 풀어야 할지 어렵다는 생각만 몇 년째 하고 있습니다. '기독교교양'을 제목에 담은 책이 없지 않았지만, 기독교의 핵심 진리에 가까웠지 저희 문제의식과는 잘 맞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이 책은 제목뿐 아니라 '사람은 어떻게 빚어지는가'라는 부제 덕분에 제가 찾던 책이라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정답은 아니라도 적어도 길잡이는 되어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기독교 신앙은 종교가 아니라고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마찬가지로 기독교 신앙은 단순한 교양 같은 게 아니라고 말하는 분들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그 의도는 충분히 이해합니다. 하지만 이 책이 이야기하는 교양은 그분들이 이야기하는 교양과는 다릅니다. 사회적으로 기독교에 대한 시선이 곱지 않은, 기독교가 공공선에 기여하기보다는 '교양 없는' 종교가 되어 사회악처럼 여겨지는 요즘이지요. 이 책은 기독교가 어떤 점에서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교양을 갖출 수 있을지, 또한 여전히 기독교가 사회적 교양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고민할 수 있는 책입니다. 사람이 어떻게 빚어지고, 사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기독교 신앙은 오늘의 사회와 어떻게 호흡하고 대화할 수 있을지 역사적, 신학적, 실천적으로 차근차근 설명하고 있는 책입니다.
.
그래서 월간 세속성자 북클럽 1월의 책으로 자신 있게 이 책을 골랐습니다. 독일의 신학자이자 종교교육학자인 프리드리히 슈바이처는 국내에 많이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몇 권의 책을 통해 신앙의 세계에 대한, 신앙의 전수와 성숙에 대한 인상적인 통찰을 전해주었습니다. 이 책은 두꺼운 학술서는 아니라서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지만, 약간은 빡빡한 독일 학자라서 혼자 읽기가 조금 지루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함께 읽을 진도표를 만들고, 번역자와 대화 나누는 시간도 마련했습니다. 올해 첫 독서로 함께 이 책을 읽어보시면 어떨까요?
라고 쓰고, 참석자들께 안내 메일을 보냈는데요.....
|
|
|
아_뭐_손가락이_좀_미끄럴질_수도_있지.png |
|
|
[월간 세속성자 북클럽] 기독교교양
교양에는 매우 사소한 지식부터 시작해, 특정한 행동양식, 삶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세계관까지 모두 포함됩니다. 그렇게 본다면 기독교 신앙과 교양은 꽤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고, 상호 보완적으로 서로를 풍요롭게 할 수 있습니다. 1월 월간 세속성자 북클럽에서는 독일의 종교교육학자 슈바이처의 <기독교교양>을 함께 읽으며 ‘기독교 신앙에 필수적인 교양’, 그리고 ‘한 인간에게 필요한 필수적 교양으로서의 기독교’에 대해 함께 생각해보려 합니다.
-
함께읽기 : 2024년 1월 15일(월) 부터 밴드에서 온라인으로 함께 읽기 대화모임 : 2024년 1월 26일(금) 저녁 8시, 온라인 ZOOM (번역자 손성현 목사님과 함께) |
|
|
[성경 함께 읽기 챌린지] 구약#3 켜켜히 쌓인 이야기 - 여호수아, 사사기, 룻기, 사무엘서
역사는 단순한 사실의 나열이 아니라, 사람들이 살아온 시간의 결이며 그 위에 켜켜히 쌓인 이야기들입니다. 여호수아부터 사무엘기까지 역사서를 통해 우리는 광야를 벗어나 약속의 땅에 정착한 이스라엘 사람들이 싸우고, 승리하고, 예배하고, 나라를 만들고, 실패하는 이야기를 만납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도 도도하게 자신의 일을 하시는 하나님의 이야기를 읽을 수 있습니다. 5주간의 성경 읽기를 통해 이스라엘의 이야기와 우리의 이야기를 만나게 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해보면 좋겠습니다.
-
기간 : 2023년 1월 22일(월) - 2월 25일(일) 킥오프미팅 : 1월 22일(월) 저녁 9시 (온라인) |
|
|
지속가능한 교회 어떻게 가능한가 - 선교적 교회와 이중직의 가능성
<텐트메이커 - 이중직 목회자의 신학>은 목회자의 이중직 문제를 목회자의 생계나 교회의 제도적 빈틈의 관점에서 보기 보다는 ‘교회됨’과 ‘그리스도인 됨’의 관점에서 보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합니다. ‘일하며, 교회하며’ 살아가는 한 목회자의 진솔한 자기서사와 신학적 성찰을 통해 ‘지속가능하며 선교적인 교회’의 한 가능성을 볼 수 있습니다. 책의 출간을 기념하며 뜰힘과 청어람이 함께 대화의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
<텐트메이커> 출간 기념 포럼
패널: 최주광(저자, 홍예교회, 시공인테리어), 김규섭(아신대학교 신약학), 구균하(대한성공회 서울교구 영등포성당 보좌사제) 일시: 2024.01.30(화) 저녁 7시 30분
새롭게 시작하는 목회자들을 위한 대화모임 대화 손님: 최주광(저자, 홍예교회, 시공인테리어), 최병인(뜰힘 대표, 나들목 양평교회 전도사) 일시: 2024.02.01(목) 오후 2시
|
|
|
[청어람과 함께 하는 사람들] 청어람 프로 참석러, 류성균 후원자를 만났습니다!
저는 일반 평신도로 교회에 열심히 다니려고 노력하고 있는 30대 직장인입니다. |
[세속성자 예배] 주일 모임
매주 홈페이지에 예배 자료를 게시하고, 매월 2,4주 일요일 오후 2시에 오프라인 예배 모임을 갖습니다. |
|
|
청어람ARMC
02-319-5600
서울 마포구 와우산로 40 창영빌딩 4층 |
|
|
청어람 홈페이지 회원 및 메일링 리스트 신청자들에게 보내는 홍보 메일입니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