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분들이 그리스도인의 감수성 함양을 이야기하시는 요즘입니다.
👂듣고 싶은 이야기가 많은, 풍관
국제도서전에서 심보선 시인의 신작 시집을 샀습니다. 시집에 흥미로운 제목의 시가 있더라고요. 시의 제목은 <내가 다시 기도를 할 수 있다면>입니다. 마침 청어람의 시 읽기 모임 '이 시가 나의 기도문이며'를 준비하고 있어서 유심히 읽어 보았지요. 이렇게 시작하는 시입니다. “주여 / 오래전 무릎 꿇고 당신에게 기도한 적 있습니다 / 일주일에 한 번 마을 가운데의 교당에서 // 그날을 일요일이 아니라 주의 날이라 부른 사람들은 / 나보다 더 큰 소리로 기도했습니다 / 나는 그들이 지은 죄를 낱낱이 들을 수 있었습니다// 주여 / 부디 그들을 용서하지 마소서…”
심보선 시인 특유의 유머도 배어 있고, '시편' 탄원시의 현대판 버전을 읽는 것 같기도 해서 울림이 컸습니다. 그런데 제가 이 시를 읽은 다음 날 미국이 이란을 공격했습니다. 그 소식을 듣고 시 속의 다른 문장이 떠올랐어요. “주여 / 나는 꿈에서 깨어나 / 일요일을 일요일이라 부르는 사람들 속으로 돌아갔습니다 / 나는 아이들과 원수들의 얼굴을 똑똑히 기억할 것입니다” 전쟁 소식을 듣는 일이 일상이 된 세상이지요. 이 시를 읽으며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종교적 신념으로 전쟁을 정당화 하고 희생된 이들을 숫자로 환원하는 현실에 제가 무감해져 있었다는 사실을요.
많은 분들이 그리스도인의 감수성 함양을 이야기하시는 요즘입니다. 감수성의 반경을 넓히는 데 시 읽기 만큼 좋은 것도 없지요. 생경한 언어 앞에 서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나와 다른 존재들과 함께 있어 볼 수 있습니다. 그들이 들려주는 목소리 속에서 나조차 몰랐던 내 모습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낯선 사람이 되는 경험이 우리 안에 쌓일수록, 함께 살아가는 감각도 자라나는 것 아닐까요? 청어람이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말들, 나를 다시 기도하게 해 줄 시들을 함께 읽고 싶은 분들을 초대합니다.
|
|
|
시는 기도입니다. 물론 모든 시가 기도인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어떤 시는 나에게 가장 가까운 기도의 언어가 될 수 있습니다. 시의 말들이 내 몸과 마음의 구석구석을 비추며, 지금의 나를 다시 보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훌륭한 시는 독자를, 그 시를 읽기 전과는 조금 다른 사람으로 만들어놓기도 합니다. 기도가 우리를 새롭게 빚어가시는 하나님의 신비 안에 머무르는 행위라면, 시를 읽는 일도 기도의 시작이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시의 언어들 사이에서 낯선 나를 발견하는 경험이 우리의 기도를 더 진실되고 생생하게 북돋아줄 수 있을 겁니다. .
📖 진행: 이새해 시인
📖 일시: 7월 1일(화, 온라인), 26일(토, 오프라인)
(같은 모임을 날짜와 방식만 다르게 두 번 진행합니다.) |
|
|
💫청어람에서는 지금?!
[진행 중] [성서일과 원정대] 6월 모임과 [읽는 신학교] <기독교 그 위험한 사상의 역사> 모임은 매일온라인 밴드에서 나눔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재정보고] 청어람 재정/후원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마음을 모아주시는 후원자 여러분께 언제나 감사 드립니다. |
|
|
“나는 엄마가 먹여 살렸는데 그리고 교회도 엄마가 먹여 살렸는데!”라는 문장을 읽고 느낌표가 떠오른 분들과 물음표가 떠오른 분들을 초대합니다. 차茶 덕후인 이끔이가 여름에 어울리는 향기로운 차를 우려드릴게요, 다함께 차를 마시며 우리의 엄마들과 교회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어 봅시다.
📖 진행: 최유미 (청어람 기획위원)
📖 일시: 7월 12일(토) 오전 11시, 오프라인 모임 |
|
|
이오진 작가의 희곡,『청년부에 미친 혜인이』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 조용히 사라졌던 누군가의 이야기를 되살려냅니다. 작가는 말합니다. “교회 안의 경험으로 뒤틀리거나 상처입은 사람들이 많을 것 같았어요. 그렇다면, 이 문제의 시작이 어디였을까? 교회 안에 자매들의 이야기도 이제는 발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이 책을 리뷰한 홍승은 작가는 “불의에 정직하게 으르렁거리며 ‘하하’웃는 일은 이상해서 멋있다”고 말합니다. 혜인이의 이야기를 소리내어 읽는 일은, 침묵하던 교회 안의 목소리를 다시 울려 퍼지게 하는 일입니다. 함께 소리내어 읽을 때, 혜인이의 이야기는 우리의 이야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함께 불의한 장면을 읽어내면서 으르렁거리고, ‘하하’ 웃어보기를 제안드립니다. 이상하고 멋진 일이 될 거라고 확신해요. 이 일은 작지만 우리에게 분명한 힘이 되지 않을까요?
📖 진행: 김유미 간사
📖 일시: 7월 18(토 오전 11시), 오프라인 모임 |
|
|
[온라인 강의] 페미니즘과 기독교의 쟁점들
한국 교회 - 그리스도인에게 페미니즘은 남성 가부장 중심의 신앙과 교회 체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평등과 존중의 길을 선택하도록 우리에게 새로운 질문을 제공합니다. 기독교 윤리학자 김혜령 교수님과 함께 젠더, 재생산권, 가족주의, 사랑, 교차성, 백래시 등 현재 한국 사회와 교회를 관통하는 문제들을 살펴보세요! |
청어람의 정기후원자가 되어주세요!
청어람은 한국교회와 한국사회가 꼭 검토해야 할 주제가 무엇인지 제안하고, 통과해야 할 토론을 외면하지 않도록 꾸준하게 모임, 챌린지, 세미나 등을 기획하며 담론의 장을 만들어 오고 있습니다. 청어람의 정기후원자가 되셔서 다양한 주제의 활동을 살펴보시고, 30% 할인된 가격으로 모임과 강좌를 이용해 보세요! |
|
|
청어람의 다른 메일링 컨텐츠들도 구독해 보세요. |
|
|
청어람ARMC
02-319-5600
서울 마포구 와우산로 40 창영빌딩 4층 |
|
|
청어람 홈페이지 회원 및 메일링 리스트 신청자들에게 보내는 홍보 메일입니다.
|
|
|
|
|